| Home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 Volume 11(1); 2007 > Article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07;11(1): 83-96.
Christian Women's Movement in Korean Modern history and Peace & Unification Movement
Jeong-ran Yun
Lecturer, Department of History, Soongsil University
윤정란
숭실대학교
Keywords: Korean Christian women, Colony, Korean war, South-North Division, Korean Women NGOs, Peace Movements, Movements for Reunification

국문초록
일제 식민지의 경험, 전쟁, 남북분단 등은 한국 여성들의 삶을 규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50여년 이상 지속된 남북분단은 군사주의 문화의 확산과 함께 여성의 고통을 가중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근현대사를 경험함과 동시에 현재진행중인 한국의 상황에서 평화와 통일운동은 여성들에게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그래서 한국 여성들은 남북한 교류를 통한 한반도 평화통일운동, 반전운동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평화통일운동을 위해 여성들이 단체를 조직하고 활동할 수 있게 된 것은 구한말부터 오늘날까지 전개된 기독교 여성들의 적극적인 활동에 있었다. 구한말부터 시작된 기독교 여성들의 활동은 일제 식민지시기를 경험하면서 보다 더 발전된 형태로 변화했으며, 해방, 전쟁, 남북분단 등 한국현대사의 굴곡 속에서도 여성권익, 여성인권 등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결과 최근에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이러한 여성운동의 성장은 여성들이 군사주의 문화의 확산을 거부하는 평화통일운동에 적극적으로 주도하게 만들었다. 여성들의 평화통일운동은 해방 이후 남성중심의 통일운동과는 다른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동안 남성들이 주장했던 통일을 위한 평화가 아닌 평화를 위한 통일이라는 수단을 보다 더 중요시 여기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했다. 한반도와 동북아시아 평화체제를 위한 6자 회담이 점차 구체적인 현실로 들어나고 있는 지금 여성들의 평화통일운동은 미래 수평적이고 개방적인 사회 환경을 위해 어떤 태도를 견지하고 실천해야 하는지가 과제로 남아 있다.
주제어: 한국 기독교여성, 식민지, 한국전쟁, 남북분단, 한국여성 NGOs, 평화운동, 통일운동
TOOLS
PDF Links  PDF Links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Share:      
METRICS
1,397
View
28
Download
Related article
The Creation Science Movement in Korea: A Perspective from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2018 August;23(2)
Editorial Office
Center for Korean History, Korea University
Address: B101, Korean Studies Hall(Institute of Korean Culture), Korea University
145 Anam-ro, Seongbuk-gu, Seoul 02841, Republic of Korea
TEL: +82-2-3290-2569, 5321    FAX: +82-2-3290-1665   E-mail: ijkhinfo@gmail.com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Center for Korean History, Korea Universit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