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06;10(1): 95-120. |
Japanese Residents in Korea and the Modernization of Chosŏn : A Preliminary analysis based on the case of the conflicts related to the Panggongnyŏng (防穀令, Grain Export Prohibition Order) |
Ryosuke Yamada |
Lecturer, Kurume University(久留米大学) |
|
山田良介 |
久留米大学 |
|
|
|
Keywords:
Japanese residents in Korea, moral economy, Grain Export Prohibition Order, ‘modernization’, political culture
|
국문초록 |
세계사에 있어서의 보편성을 중시하면서 조선의 「근대」를 생각했을 경우, 개항 이후 소위 「근대 이행기」(近代移行期)에 생기는 민중운동은, 시기적인 차이는 있지만, 같은 상황에 있던 일본이나 유럽 등의 타지역과 유사한 현상으로서 해석하는 것이 가능이라고 생각된다. 또, 한반도에서의 민중운동을 고찰하는 경우, 이른바 「재조 일본인」(在朝日本人 일본인 거류민)과의 관계를 간과할 수 없다.
「재조 일본인」과 한반도에 있어서의 「근대」의 문제를 연관시킨다면, 다음과 같은 전망을 제시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한반도에 있어 상업 등에 종사한 일본인은 근대적 규범-「폴리티컬 이코노미」(Political Economy)-에 의거해 그들의 행위를 정당화했지만, 전통적 규범-「모랄ㆍ이코노미」(Moral Economy)-에 입각해 행동을 일으키는 조선인 측과 분쟁이 생겼을 때, 그들은 정치적인 힘 관계에 의해 자신들의 주장을 관철시켰다. 이러한 분쟁처리 과정의 반복으로 인해서 조선 내에서 종래의 전통적 규범에 의거하는 행위는 점차 효력을 잃어 가게 되었다. 한반도에 거주하는 일본인들은 이러한 의미에서 조선의 「근대화」를 추진시키는 담당자의 일부가 된 것이 아닌가?
본고는, 이상과 같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청일 전쟁 후의 한반도에서의 방곡령(防穀令)을 둘러싼 조일(朝日)간의 분쟁을 사례로 한 기초 작업이다. |
주제어:
일본인 거류민, 防穀令, ‘근대화’, 정치문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