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 Volume 12(1); 2008 > Article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08;12(1): 133-156.
Climate Change in East Asia and Agricultural Production Activities in Koryŏ and Japan during the 12th~13th centuries
Jung-ho Lee
Research Professor, Korea University BrainKorea 21 Education and Research Group for Korean History
이정호
고려대 BK21 한국사학교육연구단 연구교수
Keywords: Climate Change, Natural Disasters, the Agricultural Promotion Policy, Agricultural Production Activities, Human Types of Responses

국문초록
본고는 10~14세기 韓國ㆍ中國ㆍ日本 동아시아 3국의 氣候變化 추세를 검토하는 가운데 이에 따른 당시 사람들의 대응양상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 가운데 특히 기후변화 뿐만 아니라 自然災害가 빈번하게 발생한 12~13세기를 주목하여 고려와 일본의 農業生産活動 상황을 고찰하였다. 10~14세기 동아시아 3국의 기후변화 추세에는 몇가지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한ㆍ중ㆍ일 각각 기후변화의 시작 시기에 다소간의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모두 10~11세기의 溫暖期를 유지하다가, 적어도 12세기에는 寒冷期로 변화되고, 이후 일시적인 小康期를 거쳐 다시 13세기후반 ~ 14세기의 寒冷期로 이어진 것으로 파악되었다. 주목되는 점은 동아시아 12세기의 한랭한 기후는 같은 시기 유럽과 북아메리카 지역, 특히 北大西洋地域이 ‘中世溫暖期(Medieval Climate Optimum Period)’ 혹은 ‘小暖期(Little Climate Optimum Period)’로 불리울 만큼 온난한 상황이었던 점과는 차이가 난다는 사실이었다. 이 점은 氣候上에 나타나는 동아시아 지역의 共通點이자 유럽 등의 지역과 구별되는 差異點이라고 여겨진다. 그 가운데 특히 12~13세기는 高麗와 日本 모두 氣候變化, 天災地變 등의 발생이 빈번히 나타나 農業生産活動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고 있었다. 한편 이처럼 氣候가 寒冷化하고 自然災害의 발생이 빈번했던 12~13세기의 경우, 農業技術의 발달 혹은 勸農政策의 내용이 보다 진전되어 나가는 모습이 점차 엿보이는 등 새로운 양상도 나타나고 있었다. 이것은 기후변화를 비롯한 자연재해의 발생 빈도가 높아질수록 이를 극복하려는 人間의 노력이 또한 증가되어 나타나고 있었다는 사실을 살펴볼 수 있게 해주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주제어: 기후변화, 자연재해, 권농정책, 농업생산활동, 인간의 대응
TOOLS
PDF Links  PDF Links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Share:      
METRICS
973
View
33
Download
Related article
Editorial Office
Center for Korean History, Korea University
Address: B101, Korean Studies Hall(Institute of Korean Culture), Korea University
145 Anam-ro, Seongbuk-gu, Seoul 02841, Republic of Korea
TEL: +82-2-3290-2569, 5321    FAX: +82-2-3290-1665   E-mail: ijkhinfo@gmail.com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Center for Korean History, Korea Universit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