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06;10(1): 43-70. |
The Focal Issues in the Historical Study of the Koryŏ's Resistance against Mongol |
Yong-hyuk Yoon |
Professor, Dept. of History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윤용혁 |
공주대학교 |
|
|
|
Keywords:
Koryŏ's Resistence to Mongol, Kanghwa Island, Choi’s military Regime, Sambyulcho
|
국문초록 |
본고는 13세기 몽골의 침입으로 야기된 고려ㆍ몽골 전쟁 연구에서 제기된 몇 가지 주제에 대하여 그동안의 논의를 소개하면서 필자의 의견을 덧붙여 정리한 것이다. 무엇이 고려의 장기항전을 가능하게 하였는가, 몽골군은 왜 강화도를 공격하지 않았는가, 고려의 대몽항전은 단계적으로 발전하였는가, 삼별초는 항몽의 불꽃인가 아니면 반민중의 정치군인인가 등의 질문이 그것이다. 그리고 여기에 ‘고려ㆍ몽골전쟁의 고고학’이라는 제목으로 유적과 유물 등 현장 자료를 통한 13세기 이해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그동안의 논의에서는 항몽전쟁에 대한 무인정권의 공과(功過)에 대한 극단적 의견차가 있어왔고 이 전쟁에 있어서 농민 천민 등 고려 인민들의 역할에 대한 높은 평가가 수반되었다. 이에 대하여 필자는 고려 인민들의 역할을 높게 평가하면서도 이를 ‘인민들만’의 공이라는 배타적 역할론에 대해서는 반대 하였다. 전쟁의 전개에 따라 항전의 단계가 발전해간다는 북한 사학의 대몽항전 발전단계론에 대해서도 비판적 의견을 개진하였다. 고려의 대몽항전이 정권의 정치적 입장에 의하여 결정되었다는 점에서 무인정권의 반몽 항전책이 비판될 요소를 안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정권적 한계라는 관점 때문에 항전의 의미를 원천적으로 부정하는 평가를 내리는 것도 공정한 평가가 아니라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
주제어:
고려의 대몽항전, 강화도, 최씨무인정권, 삼별초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