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13;18(2): 1-29. |
A Study of Research Trends in Korea on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mjin War) |
Myung-Gi Han |
Professor, Department of History, Myongji University |
|
한명기 |
명지대학교 사학과 교수 |
|
|
|
ABSTRACT |
Following the Imjin War, the way Koreans viewed the Japanese came to be fixed. Prior to the war, Koreans held a mixed view of Japan and its people. Some Koreans held a negative view of Japan due to the damages inflicted by Japanese pirates, while there were others who held a positive view of Japan. In the 16th century and thereafter, Koreans tended to look down on Japan as being a culturally inferior country in tandem with their respect for Ming China as being the No.1 civilized country. The war cemented their view and Korean intellectuals came to regard the Japanese as being an enemy that they could not share the sky with.
As it happened, the threat from the Manchurians made Korea mend fences with Japan. Following attacks by the Manchurians in 1627 and 1636, Japan’s presence loomed larger than before. Korea had to take a conciliatory attitude toward Japan. A leading scholar went so far as to insist that Korea should establish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Japan and depend on its power to fight the Qing. By the 19th century, Koreans’ animosity towards Japan, particularly their hatred for them, which was caused by the Disturbance of Imjin, re-surfac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Korean historians studied the Imjin War out of the desire to recover the country’s sovereignty and sense of national pride. They wanted to inspire Koreans’ national consciousness by having them remember how their ancestors got over national crises and to get out of the humiliating situation of the colonial rule under the leadership of national heroes like, Admiral Yi Sunsin.
A sense of pride was the core factor in Korean researchers’ study of the Imjin War following the liberation of Korea in 1945. In the 1960s, Korean researchers carried out their studies of the Imjin War in earnest. They explored diverse subjects, such as militias and Yi Sunsin. They focused on events that would point to Koreans’ diehard resistance during the war and on the Imjin War not becoming a lost war for Korea. In the 1970s, the social atmosphere was about upholding past war heroes like, Yi Sunsin, under the encouragement of the military regime. Studies on the Imjin War were moving in the direction of praising war heroes who got the country out of hardships. In the 1980s, the subjects that were dealt with became more diverse and researchers used more historical materials, but the overall trend of research was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of the 1970s.
In the 1990s and thereafter, studies on the Imjin War deepened and widened. The new prevailing view was that the Imjin War should be reviewed from a perspective of East Asian history and, for that matter, world history rather than that of a specific country. Active studies were made on details of the said event with a focus on facts that had remained unknown. There was also a new research trend where there was a heightened interest in the stories about those from diverse walks of life who experienced the war and their memories about the war as, well as a focus being placed on concrete aspects of the war, such as the cause, development, and result. |
Keywords:
The Imjin War (the Japanese Disturbance of Imjin), Yi Sunsin:militias, sense of pride, the way Koreans viewed Japan, Koreans’ respect for Ming China, East Asian perspective, war experience, memories of the war
|
국문초록 |
임진왜란은 한국인들의 對日認識이 굳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15세기까지는 조선 지식인들의 일본 이미지는 양면적이었다. 한편으로는 倭寇의 피해 때문에 그들을 부정적으로 보면서도 다른 한편에서는 그들을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도 있었다. 16세기 이후 조선에서는 尊明意識이 높아가는 경향과 맞물려 일본을 문화적으로 下視하는 경향이 높아져 갔다. 그 같은 와중에 임진왜란을 겪게 되자 조선 지식인들은 일본을 ‘영원히 함께 할 수 없는 원수’로 여겼다.
하지만 임진왜란 이후 조선은 일본과 ‘내키지 않는’ 和解를 할 수밖에 없었다. 滿洲의 위협이 높아졌기 때문이었다. 더욱이 1627년과 1636년 잇따라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일본의 존재감은 더 커진다. 만주(-淸)의 압박에 시달리던 조선은 일본에 더 유화적인 자세를 취해야만 했다. 일본을 ‘友邦’으로 삼아 청에 맞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윽고 19세기에 이르러 일본의 위협이 다시 높아지면서 임진왜란의 원한과 적개심 또한 다시 부상하는 양상을 보인다.
식민지 시대 한국인 연구자들은 국권을 회복하고 민족적 자존심을 고양하기 위해 임진왜란을 연구했다.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을 물리친 李舜臣을 ‘영웅’으로 부각시켜 민족적 자존심의 회복을 꾀하는 한편, 이순신 같은 영웅이 다시 나타나기를 열망했다.
1945년 이후 임진왜란 연구의 중요한 코드 또한 ‘자존심’이었다. 1960년대 이후 본격화된 임진왜란 연구에서는 義兵과 이순신을 비롯한 다양한 주제들이 탐구되었다. 무엇보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이 힘껏 저항했다는 것’, ‘임진왜란은 결코 조선이 패한 전쟁’ 아니라는 것을 밝히기 위해 노력했다. 1970년대에는 군사정권의 ‘민족의식 고양’ 노력과 맞물려 이순신 등에 대한 강조는 더욱 심화되었다. 임진왜란 연구가 ‘영웅사관’과 ‘국난극복사’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가게되었다. 비록 다루는 주제가 다양해지고, 이용하는 사료가 확대되는 등의 발전이 있었지만 1980년대의 연구 경향도 70년대까지의 연구 경향과 유사한 측면이 많다.
1990년대 이후 임진왜란 연구는 양적으로 확대되고 질적으로 심화되었다. 특히 임진왜란을 一國史의 시각이 아니라 동아시아, 나아가 세계사적 시각에서 보려는 경향이 확산되었다. 새롭고 다양한 주제들이 대거 발굴되었다. 전쟁의 원인, 전개, 결과 등 구체적인 측면 뿐 아니라 전쟁을 겪은 다양한 신분과 계층사람들의 전쟁 체험과 기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 또한 새로운 연구 경향이라고 할 수 있다. |
주제어:
임진왜란, 이순신, 의병, 자존심, 대일인식, 尊明意識, 동아시아적 시각, 전쟁 체험, 전쟁 기억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