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 Volume 17(1); 2012 > Article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12;17(1): 141-169.
The Korean National Defense Student Defense Corps and the Manufacturing of Warrior-type Students in Its Incipient Days
Chong-myong Im
Professor, History Departmen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임종명
전남대학교 사학과 교수
ABSTRACT
Before and after the official inaugur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ROK), not a few South Korean students opposed the polity, resisting it even at the cost of their lives. They vehemently inveighed against the polity for its factionality and regionality. In other words, they criticized the ROK for not being a nation-state from the standpoint of nationalism. Their ardent nationalist activism drove them to a variety of acts of opposition to the establishment of the ROK. Sometimes they engaged in actual, physical resistance, such as the Y?-Sun Uprising of October 1948. This not only gave a great shock to ROK authorities but also created an atmosphere of terror among ROK supporters. Seized with terror, ROK authorities desperately came up with counter-measures, putting them in action for the sake of the security of the ROK. As could be expected, the authorities went to every length to muzzle their opponents, to suppress all the subversive activities, and to eradicate dissident elements in schools. As a part of such efforts, they developed numerous and varied countermeasures in cooperation with related official agencies. The police, the Counter Intelligence Corps, and even the armies waged a campaign of purging all nonconformist elements from schools. They arrested suspicious students at will, severely interrogated them, and put some of them on trial while releasing others. The purge campaign pulverized almost all organized dissidences and critical student organizations, driving them out of schools. Then, ROK authorities established the Korean National Defense Student Corps (KNDSC) in middle schools and colleges across the country. After preparatory works such as organizing KNDSC units at the school level, the ROK Department of Education officially inaugurated the KNDSC in April 1949. The KNDSC was a typical example of a highly centralized top-down state institution in terms of its organizational process and structure. Also, it expressed other characteristics of a paramilitary organization in its primary motive for institutionalization, military drills as its primary activity, collective training in military ways, and other military-fashion practices.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KNDSC helped ROK authorities construct a system of surveillance over individual students and schools and to maintain strict control over them. Also, these characteristics facilitated the official agenda of manufacturing political subjects loyal to the ROK. KNDSC authorities tried to remold South Korean students for the sake of the ROK. For this purpose, authorities used military discipline and also collective training methods such as mass rallies and athletic meetings. These programs were developed to let students acquire military knowledge and skills and practices required for a warrior as well as healthy bodies. As important as, or more important than, practical training were the effects that collective training produced. All kinds of mass rallies and school ceremonies were exploited to transform an individual student into a collective being and ultimately collectivize all students. What draws our attention was that the collectivization of students called on the exploitation of elements of Korea’s past, such as hwarang of ancient Silla and the March First Movement of 1919. The authorities, referring to Korea’s past history, tried to nurture students as self-sacrificing warriors willing to die for the ROK. In this way, the KNDSC used every available means to fashion warriortype students in tandem with the contemporary ROK agenda of producing warrior-kungmin (國民). This constituted the contemporary political implication of the KNDSC in its incipient days from its inauguration to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Keywords: the Republic of Korea, the Korean National Defense Student Corps(大韓學徒護國團), the Yŏ-Sun Uprising, the purge campaign, highly centralized topdown state organization, paramilitary organization, military drill, collective training, mass rally, school ceremony, military-fashion practice, surveillance, control, disciplinary institution, political subject, warrior-kungmin (國民), warrior-type student, collectivization, militarization

국문초록
대한민국의 공식 출범 전후 시기에, 적지 않은 남한 학생들은 그것에 반대하고, 심지어 목숨을 바쳐 저항하였다. 그들은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그 정치제를 지역적, 도당적 정권이라는, 즉 민족국가가 아니라는 이유로 격렬히 비판하였다. 그들의 강렬한 민족주의적 활동성 속에서 그들은 대한민국의 수립을 다양한 방식으로 반대하였고, 또 때로는 1948년 10월 여순항쟁의 적극적 참여에서처럼 실제적인, 즉 물리적으로 저항하였다. 이러한 것은 대한민국 당국에게 커다란 충격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지지자들 사이에 공포의 분위기를 자아냈다. 대한민국 당국은 공포에 사로잡혀 대한민국의 안전을 위한 대항 조치들을 생각해내고, 그것들을 실행에 옮겼다. 예상할 수 있듯이, 당국은 그들의 반대자들을 침묵시키고, 또 모든 반항적 활동을 억누르고, 학교 내 저항적 요소들을 뿌리뽑고자 모든 노력을 다하였다. 그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당국은 관계 당국들의 협력 속에서 무수히 다양한 대항 조치들을 발전시켰다. 경찰과 방첩대, 심지어 군은 학교 내 모든 체제 비순응적 요소들을 숙청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들은 자신들의 눈에 의심스러운 학생들을 자의적으로 체포하고, 가혹하게 심문하고, 그들 중 일부는 재판에 회부하였다. 이와 같은 숙청 작업을 통해, 당국은 체제 저항적인 모든 활동들과 비판적 학생 조직 모두를 분쇄하고, 모든 관련 학생들을 학교로부터 몰아내었다. 그리고 나서, 대한민국 당국은 전국의 중학교와 대학교에 대한학도호국단을 설립하였다. 학교 단위에서 학도호국단을 조직하는 준비 작업에 이어, 대한민국 문교부는 1949년 4월 대한학도호국단을 공식으로 출범시켰다. 조직 과정과 조직 구조에서 볼 때, 학도호국단은 고도로 중앙 집중화된 하향식 국가 조직의 전형적 예였다. 또한 그것은 그것의 애초 출범 동기와 그것의 주된 활동인 군사훈련, 또 여타의 군대식 방식에서 자신의 준(準)군사 조직적 성격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성격의 학도호국단의 통해, 대한민국 당국은 개별 학생들과 학교에 대한 감시 체제를 구축하고 또 그들을 엄격하게 통제할 수 있었다. 또한 당국은 학도호국단을 통해, 당국은 자신에게 충성스러운 정치적 주체의 생산이라는 자신의 과제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었다. 학도호국단 당국은 대한민국의 안전을 목적으로 남한의 학생들을 다시 개조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호국단 당국은 군사 훈련과 집단훈련-대중 집회와 체육 대회와 같은-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학생들로 하여금 군사 지식과 기술과 행동 양식들을 익히게 하고, 또 신체를 건강하게 만들고자 개발된 것들이었다. 이러한 실제적 훈련들 못지 않게 중요한, 또는 그 보다 더 중요한 것은 집단 훈련이 낳는 효과였다. 모든 종류의 대중 집회와 학교 행사들은 학생 개별을 집단적인 존재로 변형시켜 궁극적으로 학생들을 집단화하도록 활용되었다. 여기에서 주목되는 것은 학생들의 집단화 과정에서 고대 신라의 화랑도와 1919년의 삼일운동이라는 한국의 과거가 활용되었다는 점이다. 학도호국단 당국은 과거 역사를 참고점으로 하여 학생들을 대한민국을 위해 기꺼이 죽을 수 있는, 자기 희생적인 전사로 육성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학도호국단은 전사형 국민 생산이라는 당대 대한민국의 의제에 따라 가능한 모든 방법을 사용해서 건강하고 정력적이며 또한 불굴의 자기 희생적인 전사형 국민을 만들어내고자 하였다. 바로 이것이 초창기 대한학도국단의 당대 정치적 의미이다.
주제어: 대한민국, 대한학도호국단, 여순봉기, 숙청 작업, 중앙집중의 하향식 조직, 준군사 조직, 군사 훈련, 집체 훈련, 대중 집회, 학교 행사, 군대식 행동양식, 감시, 통제, 규율 기구, 정치 주체, 전사형 국민, 전사형 학생, 집단화, 군사화
TOOLS
PDF Links  PDF Links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Share:      
METRICS
1,872
View
48
Download
Related article
Editorial Office
Center for Korean History, Korea University
Address: B101, Korean Studies Hall(Institute of Korean Culture), Korea University
145 Anam-ro, Seongbuk-gu, Seoul 02841, Republic of Korea
TEL: +82-2-3290-2569, 5321    FAX: +82-2-3290-1665   E-mail: ijkhinfo@gmail.com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Center for Korean History, Korea Universit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