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 Volume 16(2); 2011 > Article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11;16(2): 153-180.
Multiply-Translated Modernity in Korea : Samuel Smiles’ Self-Help and its Japanese and Korean Translations
Si-hyun Ryu
HK Professor, Institute of Honam Studi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류시현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HK교수
ABSTRACT
During the late 19th century and early 20th century, the translation of the Western books was closely connected to East Asia’s modernity and nationalism. Choosing which foreign texts would be translated and in what way was also dominated by a “word-power relationship.” I apply the concept of “translated modernity” in China and Japan to the idea of multiply-translated modernity in colonized Korea, because translation of texts originated from relationships between the West and the East, between both China and Japan and Korea, between the colonizer (Japan) and the colonized (Korea), and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and re-translation. Trough Self-Help and its translations into both Japanese and Korean, I have examined translators, readers, and the contents of this book, the so-called “modern hero.” The characteristics of multiply-translated modernity in Korea are like this: First, the translation of Western thought, sometimes combining it with traditional texts, was used by translators to invoke Korean modernity. Second, the needs and desires of Korean readers in the1910s were multiple, based on their social status and political opinions. Third, translated books were utilized for competing with imperialism in the spiritual domain as well as in the material domain. The notion of the hero was useful to resist imperialism in the spiritual domain and the notion of a “modern hero” specifically was useful in the material domain.
Keywords: Translation, Re-translation, Self-Help, Namsun Ch’oe, Translator

국문초록
19세기 말~20세기 초반, 서구 사상의 번역은 동아시아 근대와 민족주의 형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었다. 어떠한 서양 책을 선택해서 번역하는가에 여부에는 서구 열강의 정치적 영향력과 밀접하게 연결되었다. 일본의 경우 페리에 의한 ‘개항’(1854년)을 전후해서 서구 사상의 주된 번역 대상어가 된 것은 화란어가 아닌 영어였다. 리디아 리우는 이를 ‘번역된 근대’라고 규정했다. 본고에서는 중국과 일본의 경우 ‘번역된 근대’를 경험했다면, 식민지 조선은 일본과 중국에서 번역한 서양서적을 재차 번역해서 수용한 ‘중역된 근대’를 경험했다는 가설에서 출발했다. 그리고 이를 분석하기 위한 텍스트로 사무엘 스마일즈의 Self-Help의 일본과 한국의 번역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일본과 식민지 조선의 번역과정에서 시대적 상황은 물론 번역가, 독자에 관해서도 함께 고려했다. 번역은 번역자와 독자의 의도에 따라 완역, 축역, 번안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는 이 책의 한글 번역본인 〈자조론〉(1918년)에도 적용될 수 있다. 번역가인 최남선은 영어 원전은 물론 일본어 번역본과 달리 번역자의 의도를 강하게 투영했는데 첫째, 식민지 조선의 전통적인 요소를 부가하고 둘째, 일제의 검열을 염두에 두었으면 셋째, 계몽의 차원에서 생산자와 공장 경영자 등 ‘경제적 영웅’을 강조했다. 이를 통해 일제와 정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물질적이고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경쟁하고자 했다.
주제어: 번역, 중역(中譯), 자조론, 최남선, 번역자
TOOLS
PDF Links  PDF Links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Share:      
METRICS
1,255
View
24
Download
Related article
Editorial Office
Center for Korean History, Korea University
Address: B101, Korean Studies Hall(Institute of Korean Culture), Korea University
145 Anam-ro, Seongbuk-gu, Seoul 02841, Republic of Korea
TEL: +82-2-3290-2569, 5321    FAX: +82-2-3290-1665   E-mail: ijkhinfo@gmail.com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Center for Korean History, Korea Universit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