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 Volume 12(1); 2008 > Article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08;12(1): 25-55.
The formation of the Posa kongsin’s political position and social networks during the reign of King Sukchong
Sang-sik Lee
Research Fellow, Korean Classical Culture Institute
이상식
한국고전문화연구원 전임연구원
Keywords: Posa kongsins, Kyŏngsin hwan’uk, Kim Sŏkchu, Kim Man’i, Pokch’anggun’s brothers

국문초록
이 글에서는 숙종 때 保社功臣의 존재를 기초 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숙종 때의 특이한 정치적 현상으로 알려진 ‘換局’의 성격과 의미를 재고찰해 보려고 했다. 기존 연구들에서는 朋黨政治의 파행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건의 하나로 庚申換局을 인식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경신환국의 발생 원인을 서인과 남인간의 정치적 대립 격화로 보았고, 그 결과 특정 붕당이 정권을 독점하는 일당 전제화의 추세 대두되었다고 보고 있다. 보통 反正이나 정치적 변동 이후 정치적 과정에서 정치 구도는 功臣를 중심으로 정치 세력이 재편되어 운영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보사공신의 존재는 경신환국을 서?남인의 정권 교체라는 시각에서 바라본 기존의 연구에서는 간과되었다. 특히 이들 보사공신들은 당대에도 追錄 논란 등으로 인해 그 위상은 급속히 추락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들 보사공신들 중 元勳들은 金錫?와 金萬基와 관련된 하급무사들이 대부분이었고, 追錄者들 또한 김석주, 김만기의 인맥을 통해 연결되었다. 원래 하급 무사들은 현종 말 숙종 초기에는 三福 형제를 중심으로 한 정치 세력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이들은 경신환국을 전후로 한 시기에 김석주ㆍ김만기 등 외척 세력과 관계를 맺었던 것으로 보이며, 붕당과는 인적 관계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었다. 앞으로 이들 보사공신들의 활동과 사회적 관계망을 분석함으로써 경신환국의 성격은 좀 더 구체화될 것으로 생각된다.
주제어: 보사공신, 경신환국, 김석주, 김만기, 三福 형제
TOOLS
PDF Links  PDF Links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Share:      
METRICS
1,200
View
19
Download
Related article
The Dual Kingship and State Management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Reign of King Sejong  2005 December;9(1)
Editorial Office
Center for Korean History, Korea University
Address: B101, Korean Studies Hall(Institute of Korean Culture), Korea University
145 Anam-ro, Seongbuk-gu, Seoul 02841, Republic of Korea
TEL: +82-2-3290-2569, 5321    FAX: +82-2-3290-1665   E-mail: ijkhinfo@gmail.com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Center for Korean History, Korea Universit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