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 Volume 9(1); 2005 > Article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05;9(1): 237-256.
Political Trends of Hong Bog Won Clan in the Period of Mongol Domination
Oleg Pirozhenko
Master of Arts, Dept. of Korean History, Korea University
Oleg Pirozhenko
고려대학교 대학원
Keywords: Koryo, Yuan, Hong Bog Won, Lyaoyang and Shenyang provinces, king Kongmin

국문초록
13세기 초엽 고려 북계의 토호인 洪福源은 아버지 洪大純의 정치적 성향을 이어받아, 고려를 배반하고 몽고의 고려 침략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 후, 그는 몽고에 투항한 고려인들의 지도자가 되어, 그것을 기반으로 遼藩지방에서 튼튼한 정치적, 사회경제적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다. 홍복원이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던 배경은 高麗·元 간의 갈등 관계에 기인한 것이었기 때문에, 그는 평생토록 이런 갈등상황을 유지시키려 했다. 사료에서 가장 많이 다루어지는 것은 홍복원의 자손 가운데 그의 둘째 아들 洪茶丘와 그 아들인 洪重喜, 洪重慶으로 구성된 분파에 대해서이다. 그들은 고려와 모든 관계를 단절시킨 채 고려에 압박을 가하였다. 그리고 그들은 홍복원의 정치적 성향을 계승하였으며, 고려에 대한 침략과 수탈을 통해 자신들의 영향력을 강화하여 했다. 그러한 가운데 高麗·元 관계 성립기, 즉 충렬왕 즉위까지는 洪茶丘의 정치적 영향력이 컸지만, 양국관계가 안정됨에 따라 그 영향력은 쇠퇴하였다. 그것을 회복하기 위해 홍다구는 김방경 사건을 비롯하여 도발적인 책동을 벌였지만, 끝내 그 영향력을 회복하지 못하였다. 13세기말~14세기 초에는 홍다구의 아들인 홍중희, 홍중경의 활동이 僚瀋지역에 집중되었으며, 따라서 이 지역은 그들의 정치력, 경제력의 유일한 근거지가 되었다. 그러므로 요심지방에 대한 충선왕의 영향력의 확대는 바로 홍중희,홍중경으로 하여금 立省論을 제기하게 만들었다. 즉, 홍중희, 홍중경은 충선왕의 심양진출로 위기감을 느끼게 되었으며, 자기 세력의 기반을 지키기 위해 충선왕과 대립하지 않을 수 없었다. 고려에 지지할 세력이 없는 그들은 충선왕 지지세력과 협상을 할 수 있는 처지도 아니었고, 元 조정을 통해서 충선왕 세력 제거를 시도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하여 그들은 입성책동을 시도하였던 것인데, 그것이 실패하자 그들의 영향력은 더욱 약화되었으며, 그 이후 그 一派는 적극적 정치 활동을 할 수 없었던 것 같다. 홍복원 일가 가운데 그의 또 다른 아들인 洪熊三, 洪君祥과 그들의 후손이 따로이 일파를 구성했는데, 그들은 홍씨 국내파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원에서 활동하였다. 이들은 駙馬國體制에 적응하여 고려와 원의 교류에 있어서 상당한 역할을 하였다. 특히 주로 충렬왕 때에 활동하였던 홍군상은 그의 정치적, 경제적 위치가 두드러졌는데, 高麗·元 간의 평화적 교류와 우호관계 유지에 크게 기여하였다. 홍복원의 동생인 洪百壽는 고려에 남아 활동했는데, 그의 후손이 홍씨일가의 국내파를 형성하였다. 자신들의 사회경제적 기반과 이해관계가 고려와 관련되었던 만큼, 그들 홍씨 국내파는 高麗·元 간의 관계를 깨뜨리는 일보다는 고려와 원 사이의 중재인 역할을 원했고, 실제로 그러한 역할을 수행했으므로, 이 시기의 다른 부원배 세력과 대조를 이룬다고 하겠다. 물론 그들의 정치적인 성향도 고려의 내정 상황에 따라 좌우되었다. 즉, 洪詵을 비롯한 홍백수의 아들로 구성된 일파는 충선왕 측근세력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제1차 立省論을 반대하였던 것이라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지적할 만한 것은 홍복원 일가의 정치적 동향을 통해서 드러나는 바 요심 지역에서 고려인이 정치적, 군사적 측면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대해서이다. 당시 元都에서는 요심 지역을 중국 영토의 일부로서보다는 별도의 지역으로 인식하였으며, 요심 지역 고려인 토호세력의 존재와 요심 지역에 대한 고려왕조의 영향을 인정하였다. 그리하여 당시 이 지역에 있어서 고려의 영향은 상당히 강했으며, 요심 지역에서의 통치권 분쟁은 대부분 고려인 간에 일어난것이었다. 홍복원 일가는 요심 지역에서 계속적으로 관직을 차지하면서 이 지역의 고려군민을 통제하였다. 한편, 원은 以夷制夷 政策의 일환으로 瀋王을 임명하여 요심 지역에 대한 통치권을 둘러싸고 고려 지배층의 분열을 조장하였는데, 여기서 주목할 만한 것은 심왕은 물론 형식적이라도 요심 지역과 관련하여 관직을 받는 사람들이 모두 고려인으로서, 고려 왕조와 관련되어 있었다는 점이다. 또한, 심왕이 요심 지역에 대해 실제 통치권을 갖지 못하도록 심왕을 견제한 인물들이 바로 고려출신 홍복원 일가였다. 이러한 사실들로 미루어보아, 당시 요심 지역에 있는 고려군민의 큰 비중과 이 지역에 있어서의 고려의 강한 영향력을 인정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원의 붕괴에 뒤이어 명이 성립되어 고려 및 조선과 외교 관계를 전개시켜 나갔고, 그 결과 遼瀋 지역에 대한 漢族제국인 명의 통제가 확립되었던 것이지만, 13세기 이 지역에서 고려군민 세력이 절대적 위치를 차지했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된다고 본다. 이러한 맥락에서, 홍복원 일가의 정치적인 활동을 통해 드러나는 요심 지역에 대한 고려의 강한 영향력과 그 지역과 고려와의 긴밀한 관계는 재인식될 필요가 있으며, 이것은 바로 동북공정과 관련된 역사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으리라 생각한다.
주제어: 고려, , 홍복원, 입성론, 요심지방, 공민왕
TOOLS
PDF Links  PDF Links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Share:      
METRICS
3,574
View
44
Download
Related article
Political Power Groups of Koryŏ Dynasty after the Period of Yüan China's Intervention  2002 December;3(1)
Editorial Office
Center for Korean History, Korea University
Address: B101, Korean Studies Hall(Institute of Korean Culture), Korea University
145 Anam-ro, Seongbuk-gu, Seoul 02841, Republic of Korea
TEL: +82-2-3290-2569, 5321    FAX: +82-2-3290-1665   E-mail: ijkhinfo@gmail.com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Center for Korean History, Korea Universit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